안효례 인플루언서 작가 노마, 후지필름 에비뉴엘점에서 개인전 《위로》' 개최 http://www.daljin.com/blog/23172이예슬 마이아트뮤지엄, 《이탈리아 국립 카포디몬테 미술관 19세기 컬렉션: 나폴리를 거닐다》개최 http://www.daljin.com/blog/23176이수진 국립중앙박물관, '오세아니아' 특별전 개최... 국내 최초 오세아니아 문화 본격 ...
노노탁2025. 8. 30. - 12. 31.세화미술관 HALL 2,3 (3F)태광그룹 세화미술관은 2025년 8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파리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크리에이티브 듀오, 노노탁 스튜디오(NONOTAK STUDIO)의 국내 첫 개인전을 선보인다. 비주얼 아티스트 노에미 쉬퍼와 건축을 전공한 빛·사운드아티스트 타카미 나카모토로 구성된 이들은 2011년 첫 협업을 시작으로 빛과 사...
호암미술관 《루이즈 부르주아: 덧없고 영원한》 개최- 한국에서 25년 만에 선보이는 대규모 미술관 회고전, 전 생애 작품 한자리에- 의식과 무의식의 이중 구조로 부르주아의 복합적인 작품 세계 담아내삼성문화재단이 운영하는 호암미술관은 20세기 현대미술의 거장 루이즈 부르주아의 개인전 《루이즈 부르주아: 덧없고 영원한(Louise Bourgeois: Th...
충청남도는 2027년 개관 예정인 충남미술관의 건립을 알리는 2025 충남미술관 사전프로젝트 《땅을 딛고, 바람을 넘어》를 개최합니다. 지난해 충남 출신 근현대 거장들이 화폭에 담은 《산수 山水》를 감상한데 이어, 이번 전시는 발걸음을 아래로 돌려 우리가 살아가는 땅과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충남 출신의 중견 작가 김기라, 노상균, 유근택, 이종...
허강 개인전 《思惟의 정원 – 자연으로부터》2025.08.29 금 - 10.14화모나무르갤러리 (모나밸리)부전동에 달이 떴어야 _ 김홍정(소설가) 화가 허 강은 어릴 적 친구다. 조각으로 남은 기억 속의 허 강은 이십여 리의 먼 거리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금강을 건너 통학하느라 늘 얼굴이 발갰다. 그런데 그림 그리는 재주가 있었고, 여력을 다해 작품에 ...
잠들지 않는 이들을 위한 노래, Nocturne (곽아람, 권세진, 권소영, 나지수, 노한솔, 로지은, 박예림, 박지영, 양지오, 유초원, 윤준영, 이은경, 이은지, 이해천, 장우길, 정덕현, 조민아, 현승의, 황규민)
2025-08-29 ~ 2025-10-29
()
목포대학교박물관,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연계전시 《잠들지 않는 이들을 위한 노래》 개최◎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기간 내 개최(2025.8.29(금) ~ 10.29(수))◎ 수묵을 기반으로 한 회화·입체·설치 등 다양한 장르의 젊은 작가 19인 참여◎ 전통 수묵의 미학과 동시대 철학적 사유가 교차하는 장(場) 마련국립목포대학교박물관(전남 무안군 영산로 1666)은 오...
JIN KAI: 욕망의 도시 City of Desire시골마을에서 세계적 담론의 불씨가 타오른다2025.8.29 금 - 11.28 금구비갤러리 010-9665-0001경남 고성군 마암면 옥천로 397작가노트JIN KAI의 작업은 연극 무대에서 비롯된 감각을 회화의 조형 언어로 치환하는 데서 출발합니다. 무대 위의 긴장과 휘발성은 화면 속에서 새로운 형상으로 굳어지며, 이는 작가가 명명한 ‘비극...
2025 광주디자인비엔날레기념전“장미 토끼 소금: 살아 있는 제의”■ 전시개요전 시 명 2025 광주디자인비엔날레기념전 “장미 토끼 소금: 살아 있는 제의”전시장소 광주시립미술관 로비 및 제1~2전시실전시기간 2025. 8. 29.(금) ~ 2026. 1. 25.(일)개 막 식 2025. 9. 9.(화) 오후 7:00참여작가 이수경, ...
국립현대미술관·SBS문화재단 《올해의 작가상 2025》 개최 ◇ 국립현대미술관‧SBS문화재단 공동 주최 대한민국 대표 미술상 - 김영은, 김지평, 언메이크랩, 임영주 후원작가 4인(팀) 신작 및 주요 작품 공개 - 8월 29일(금)부터 2026년 2월 1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경계’를 넘나들며 주류의 서사를 전복...
청담 보자르갤러리, 이희돈 초대전《必然(필연): Destiny - 인연을 넘어, 필연으로 마주하다》 개최 ◇ 인연에서 필연으로: 회화적 사유 - 1990년대부터 천착해온 인연생기(因緣生起)의 사상을 바탕으로 삶과 관계를 탐구 - 반복과 수행의 붓질, 시간의 축적을 통해 인간과 우주를 잇는 소통의 구조 구현 - 얽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