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큐레이터 열전
김준기 / 제7대 한국큐레이터협회장
인명사전 바로가기 : www.daljin.com/author/2999
전시기획자 김준기(b.1968)는 부산시립미술관(2007-2010)을 거쳐 2010년부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장,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을 역임했다. 석남미술상 젊은이론가상(2007)을 수상하였고 '공공영역에서의 예술적 실천과 새로운 공공미술' 등의 글을 썼다.
55 건
-
- (55)엄선미, 평화예술을 향하여
- [2025-10-01] 김준기 [32]
- “내 아버지의 그림에는 피가 묻었다.” 국민화가 박수근의 아들인 화가 박성남으로부터 이 얘기를 들은 나는 크게 놀랐다. 서민의 평온한 일상을 담은 그림에 피가 묻어 있다니! 그러나 놀랄 일이 아니...
-
- (54)한주연, 배움과 나눔의 뮤지엄을 향하여
- [2025-09-01] 김준기 [402]
- 한주연은 1990년대 후반 아트선재센터 큐레이터로 출발했다. 새로운 미술관 문화를 통해 미술계를 학습하던 그는 삼성문화재단으로 옮겨 에듀케이터로 오랜 시간 활동하면서 미술관 문화 전반의 정책과 ...
-
-
- (52)홍윤리, 논문 쓰는 큐레이터
- [2025-07-01] 김준기 [768]
- 홍윤리 큐레이터와 전시기획자는 다르다. 이 문장이 미술계에 제 자리를 잡기까지 짧지 않은 세월이 필요했다. 어쩌면 홍윤리의 미술관 생활 25년과 비슷한 시간일 것이다. 홍윤리는 미술관의 학예연구...
-
- (51)김이삭, 사회참여 활동가의 너른 길
- [2025-06-01] 김준기 [653]
- 김이삭 ‘사회참여 활동가’를 자임하는 김이삭은 큐레이터와 에듀케이터, 디렉터 정체성을 한 몸에 지닌 독창적인 뮤지움 종사자다. 그는 예술교육의 공공성에 주목하여 교육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
-
- (50)박남희, 이론과 실천의 지평 위에서
- [2025-05-01] 김준기 [678]
- 박남희 ‘예술이라는 구체적인 사실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예술학’을 전공한 박남희는 자신의 학문적 토대를 세 영역으로 풀어낸다. 현장 비평가와 큐레이터, 미술관장이라는 그의 사회적 위치는 연구...
-
- (49)박순영, 삶 속에 스며드는 예술을 향하여
- [2025-04-01] 김준기 [1235]
- 박순영 박순영은 2010년부터 딱 10년간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로서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를 전담했다. 그는 레지던시 프로그래머 업무를 맡아 입주예술인들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입...
-
- (48)이동국, 전통문화와 현대예술 사이에 선 큐레이터
- [2025-03-01] 김준기 [886]
- 이동국 경기도박물관장 이동국은 긴 세월동안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관통하는 큐레이터쉽으로 한국 서예의 역사를 갈무리해왔다. 1988년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개관 이후 2023년까지 30여 년에 걸쳐 그...
-
- (47)신용철, 역사와 현실을 가로지르는 큐레이터
- [2025-02-01] 김준기 [1194]
- ⓒ 제공 신용철 신용철은 부산에서 나고 자란 부산 토박이다. 청년 시절 국문학을 전공한 그는 마당극 연희패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우물을 깊게 파려면 넓게 파야한다’는 김열규 선생의 가르침을 따...
-
- (46)이승아, 디지털 전환을 열어가는 큐레이터
- [2025-01-01] 김준기 [1978]
- 이승아 큐레이터 이승아는 미디어아트영역의 독립큐레이터로서 조사연구를 기반으로 현장 상황에 맞는 기획을 해오고 있다. 그가 추구하는 기획은 전시라는 결과물이 아닐 수도 있다. 정책 제안일 수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