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이진영: The Colors of Wind 바람의 빛깔

  • 전시분류

    개인

  • 전시기간

    2025-09-30 ~ 2025-10-26

  • 참여작가

    이진영

  • 전시 장소

    연희하우스

  • 유/무료

    무료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이진영: The Colors of Wind 바람의 빛깔
일시: 2025.9.30(화) - 10.26 (일)
시간: 12:00-19:00 정기휴관: 매주 화요일
장르: 회화, 사진

연희하우스 Yeonhui House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189-2
182-2 Yeonhui-dong, Seodaemun-gu, Seoul, South Korea



“The Colors of Wind” 바람의 빛깔 이 가을의 한복판에서 ‘바람의 빛깔’을 주제로 작가 이진영을 만납니다. 그동안 ‘흔적의 흔적(Trace of a Trace)’, ‘운화몽(雲花夢)’ 등을 통하여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던 이진영 작가가 또 다른 노래를 들려줍니다. 투명하나 선명하지는 않은, 평면적으로는 혼재되어 있으나 입체적으로는 층층이 단절되어있는 그의 작업은 인간의 다양한 모습과 그 모습들이 이루고 있는 관계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대하는 인간의 모습들은 그리 단순하지만은 않습니다. 하나의 개체로서의 인간은 몹시 다중적임을 알고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우리 인간은 생산자이기도 하고 소비자이기도 하며, 운전자가 되었다가 순식간에 보행자가 되기도 합니다. 누군가의 자녀이기도 하지만 또 다른 누군가의 부모이기도 합니다. 아주 상반된 역할을 아주 자연스럽게 수행해나가는 인간은 얼핏 보아서는 모순인 듯이 보이는 요소들 사이에서 별다른 어색함을 느끼지 않는 듯합니다.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고, 자연과 인공이 함께 하며, 음악과 미술이 서로를 담아내며 간섭하고 그러한 간섭은 다층적인 누적을 통하여 인간 자체를 형성하고 인간 사이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인간과 그들이 만들어내는 관계는 어쩔 수 없이 모호하거나 불분명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작가 이진영의 작업에서 새삼 우리는 그러한 인간의 모습을 발견하고는 합니다. 작품을 위한 다양한 재료의 선택과 소재의 다층적인 제시를 통하여 사실을 찾기 위하여 애쓰는 인간의 부단한 땀을 봅니다. 그런 의미에서 작가 이진영의 작업이 가지고 있는, 얇고도 투명한 소재를 고르고 그에 어울리는 색깔을 올리고 한땀한땀 바느질로 마무리하는 과정 자체가 작품이라고도 할 것입니다. 하지만 거기까지입니다. 이진영 작가는 작품을 통해 자신의 의도를 드러내고자 하지 않습니다. 작품의 완성을 작가 자신의 영역 밖에 유보해 놓은 빛으로 미루어 놓고 있습니다. 이진영 작가의 작품은 시간과 계절에 따른 빛의 양과 질에 따라 그의 표정을 달리하여 때에 따라 각기 다른 작품으로 완성이 되기도 하는 것입니다. ‘바람의 빛깔’은 작가 이진영의 작품을 모호하게 함축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바람’이 이 가을의 바람[風]일 수도 있지만, 우리네 인간의 바람[望] 일 수도 있으며, 작품에 담기는 ‘빛깔’이 때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불분명하기 때문입니다.바람 좋은 이 계절에 그의 빛깔을 흠씬 느껴 보셨으면 합니다. 아침과 점심과 저녁 시간에 각기 다른 이진영을, 얼굴이 달라진 또 다른 작품을 그리고 그를 통한 인간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 한재영

At the very heart of this autumn, under the theme “The Colors of Wind”, we meet the artist Lee Jinyoung. Having previously shared many stories through Trace of a Trace and Unhwa-mong (雲花夢), Lee now offers us another song. Transparent yet not sharply defined; mingled on the plane yet, in depth, cut off layer by layer Lee’s work speaks of the many faces of the human being and the relationships those faces compose. The figures we encounter in life are seldom simple. We know well that a human being, as a single entity, is deeply multiface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we are producers and consumers; a driver one moment, in an instant a pedestrian. We are someone’s child and, at the same time, someone else’s parent. We carry out starkly opposing roles with ease, seemingly untroubled by elements that might look contradictory at first glance. Tradition and the contemporary mingle; the natural and the artificial coexist; music and visual art contain and interfere with one another. Through the multilayered accumulation of such “interference,” the human itself takes shape, and the bonds between humans are formed. Thus the human and the relations we fashion—are, inevitably, ambiguous, even indeterminate. In Lee Jinyoung’s work we recognize this human figure anew. Through the choice of diverse materials and the layered presentation of motifs, we witness the ceaseless sweat of humans striving to reach what is real. In this sense, the very process selecting thin, translucent substrates, laying on colors that fit, and finishing stitch by stitch may itself be called the work. But only up to that point. Lee does not seek to declare a personal intention through the work. The completion of each piece is deferred to light light reserved outside the artist’s own domain. A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light shift with time and season, the work alters its expression and, at times, arrives as a different work, differently complete. “The Colors of Wind” thus gestures toward Lee Jinyoung’s practice in a way that is compact, even intentionally ambiguous. Baram may be the autumn wind [風], but it may also be human longing, wish, or desire [望]; and because the “color” the work carries can change with time and circumstance, it remains, still, indeterminate. In this season of fair winds, I invite you to take in those hues to the full. If you can, come in the morning, at noon, and in the evening, and meet a different Lee Jinyoung each time another face of the work, and through it, the human being. I look forward to seeing you at the exhibition. 
- Han Jae-young


이진영_ Stay in the Wind_Mixid Media on Poly-Organza with Mesh, Acrylic, Copper Rods_100(h)cmx149(w),2025


이진영_ Stay in the Wind_Mixid Media on Poly-Organza with Mesh, Acrylic, Copper Rods_100(h)cmx149(w),2025




이진영 Jinyoung Lee 李珍映
Instagram : jinyoung0405


Profile Career
2001-2006  쾰른 미디어 예술대학교 미디어아트 석사 (Diplom) 졸업, 독일
1993-1998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Seoul Korea Studied composition (B.F.A)
 
Residency 
2017  Temenggong Artists-In-Residence, Singapore
2014-2015  OCI Museum Art Studio, 4nd Residence Artist, Incheon, Korea

주요 전시
2022  Eloquence of The Visual, 東京画廊+BTAP, Tokyo, Japan
2020  Trace of a Trace, Gallery Woong, Seoul, Korea
2020 Material and Imagination, DatzMuseum of Art, Gyeonggi Gwangju, Korea
2020  Empty Fullness, Parkryusook Gallery, Seoul, Korea
2019  Different yet similar,Similar yet diffent, Vietnam National Museum of Fine Arts & Culture Center in Vietnam Embassy of Republin of Korea, Hanoi, Vietnam
2018  5th Neo-Moroism, Tsinghua University Visual Art Center / 東京画廊+BTAP, Beijing, China


이진영_ Stay in the Wind_Mixid Media, DTP Print on Poly-Organza with Mesh, Acrylic_590(h)cmx284(w),2025


이진영_ Stay in the Wind_Mixid Media on Poly-Organza with Mesh, Acrylic_135(h)cmx112(w), 2025


이진영_ Stay in the Wind_Mixid Media on Poly-Organza with Mesh, Acrylic_135(h)cmx112(w)x2, 2025


.이진영_ Stay in the Wind_Mixid Media on Poly-Organza with Mesh, Acrylic_106(h)cmx49(w),2025



이진영_ Stay in the Wind_Mixid Media on Poly-Organza with Mesh, Acrylic_106(h)cmx49(w),2025

이진영_ Stay in the Wind_Mixid Media on Poly-Organza with Mesh, Acrylic_106(h)cmx49(w),2025

이진영_ Stay in the Wind_Mixid Media on Poly-Organza with Mesh, Acrylic_168(h)cmx112(w),2025



이진영_ Stay in the Wind_Mixid Media on Poly-Organza with Mesh, Acrylic, Copper Rods_71.6(h)cmx48.6(w),2025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