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제
2025-10-01 ~ 2025-11-16
Teiji Miyamoto, Miki Hyoetsu, 신명덕, 김태윤, 이용기, 박성숙, 정재나, 위성범, 강종열, 구한회, 김병수, 정권석, 정진호, 조복래, 김자영, 김무열, 류남희, 김정범, 김희원, 소소영, 허명욱, 류연희, 김상훈, 이승현, 김우길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 등,철도문화공원 내 진주역 차량정비고와 일호광장 진주역
무료
055-749-8707
‘2025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10월 1일 개막
- 철도문화공원 등지서 11월16일까지 47일간 대장정 올라 -
- 국내외 작가 25명, 150여점 전시, 부대⦁연계행사도 다양 -
‘2025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가 철도문화공원 내 진주역 차량정비고와 일호광장 진주역,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 등지에서 10월 1일 화려한 막을 올리고, 오는 11월 16일까지 47일간의 대장정에 들어간다.
전통과 실용의 조화가 돋보이는 공예 예술의 진수를 만끽할 수 있는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는 지난 2019년 진주시가 ‘유네스코 공예 및 민속예술 창의도시’로 지정된 것을 기념해 2021년부터 개최된 국제 공예행사이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이번 공예비엔날레는 진주시가 ‘유네스코창의도시 의장도시’로서 행사를 주관하는 의미도 담고 있어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행사는 10월 1일 진주역 차량장비고 앞에서 개최되는 개막식을 시작으로, 주 전시와 특별전시가 본격적으로 공개된다. 또 부대행사로 다도관 운영과 유네스코창의도시 공예마켓, 국제학술토론회 등이 열리며, 연계행사인 진주공예인 축제한마당, 진주목공예전수관 수강생 작품전시회, 관광기념품 공모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예술의 향기를 더할 예정이다.
올해 ‘제3회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는 ‘사이, Between Nature To Human’을 주제로 국내외 작가 25명이 참여한다. 특히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며 전통과 현대, 시간과 장소의 기억을 다시 연결하는 의미를 담은 주옥같은 공예작품 150여점이 전시된다.
주 전시는 ‘철도문화공원 내 진주역 차량정비고’에서 개최되는데, 목공과 도자를 비롯해 옻칠, 금속, 섬유 등 다양한 매체를 기반으로 해 전통기법을 재해석하거나 공예재료를 새로운 맥락으로 활용하면서 새로운 기술과 융합하는 다양한 작품이 공예 예술의 백미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다양한 특별전시도 개최될 예정이다. 먼저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에서 개최되는 특별전시에는 제1전시실에서 현대 추상미술의 대가 이성자 작가와 진주소목 장인의 콜라보레이션 전시, 제2전시실에서는 이성자 작가와 성파스님 등 두 거장의 회화작품이 전시된다. 그리고 10월 20일부터 진주성 내 중영에서 개최되는 특별전시에는 국내 유명작가의 작품과 생활소품도 전시된다.
부대행사로는 10월 2일부터 ‘진주역 차량정비고’의 부대공간에서 진주다도의 의미를 고찰하며 실용공예의 대안을 제시하는 공예작품 전시와 함께 다도를 체험할 수 있는 다도관 ‘CRAFTea’를 운영한다. 다도체험은 9월 25일부터 비엔날레 홈페이지(https://craftjinju.kr/) 또는 인스타그램(https://www.instagram.com/craftjinju/)을 통해 사전신청할 수 있다.
10월 2일 오후 2시에는 ‘국립진주박물관 두암관’ 강당에서 ‘전통과 현대의 사이, 공예의 창의성’을 주제로 국제학술토론회가 개최된다. ‘미야모토 테이지’ 일본 중요무형문화재(인간국보)와 4대‘효에츠 미키’ 일본 옻칠 작가가 전통공예의 지속가능성과 창의성에 대해 발표하고 최병훈 홍익대 명예교수, 김동귀 경상국립대 명예교수가 토론자로 참석한다.
또 연계행사로 10월 1일부터 19일까지 ‘철도문화공원’ 일원에서 진주공예인협회 회원 11인의 다양한 공예작품 전시과 체험을 할 수 있는 ‘진주공예인 축제한마당’을 비롯해 10월 1일부터 11월 2일까지 ‘일호광장 진주역’ 기획전시실 및 로비에서 ‘진주목공예 수강생 작품전시회’가 개최되며 11월 4일부터 16일까지는 같은 장소에서 ‘관광기념품 공모전’ 작품이 선보인다.
이 밖에도 10월 1일부터 5일까지 ‘철도문화공원’ 일원에서는 6개 유네스코창의도시의 공예작가가 자국의 공예작품을 전시하고 공예문화를 공유하는 자리를 가진다.
올해 비엔날레에 대한 내용은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홈페이지(https://craftjinju.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에서 비엔날레 전시장을 볼 수 있는 온라인 가상전시관도 10월 초에 오픈할 예정이다.
류연희, BAGUNI24-2, 180 x 400 x 180(h) mm
2025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JINJU TRADITIONAL CRAFTS BIENNALE 2025
사-이
Between, Nature to Human
2025. 10.1. wed. - 11.16. sun.
2025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의 주제는 ‘사-이(Between, Nature to Human)’이다. 공예는 언제나 자연과 인간, 감각과 기술, 전통과 현대, 예술과 생활 사이의 경계에서 실천되어 왔다. 공예가 다루는 물질인 나무, 흙, 금속, 섬유 등은 자연에서 추출된 물질이며, 인간의 손과 감각을 통해 다시 태어난다.
공예를 통해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며, 전통과 현대, 시간과 장소의 기억을 다시 연결하는 이 실천은 ‘사이’라는 이름 아래 다층적으로 펼쳐질 것이다. ‘사이’란 단순한 간극이 아니라, 차이와 긴장이 공존하는 비결정적인 틈이며 의미가 발생하고 존재가 공명하는 역동적 관계의 공간이다. 2025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가 그 사이의 공간을 예술적으로, 감각적으로, 학술적으로 탐색하며, 공예의 깊이와 확장성을 드러내는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
“Sa-i (사이, Between, Nature to Human)” is the theme of the 2025 Biennale.
Craft has always been a practice shaped at the boundary between nature and humanity, sense and technique, tradition and the present, art and daily life. Wood, earth, metal, and textiles used in craft are drawn from nature and reborn through human hands and touch.
Through craft, this practice rethink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ity, and reconnects tradition and modernity with the memories of time and place. Sa-i is not a simple gap, but a non-deterministic space where differences and tensions coexist—a space of dynamic relationships in which meaning emerges and existence resonates. We hope this Biennale will become a platform to explore Sa-i—artistically, sensually, and academically—revealing the depth and expansiveness of craft.
◆ 주전시 Main Exhibition
미야모토 테이지(宮本貞治), 물결무늬 느티나무 옻칠 선반(欅拭漆波濤紋飾棚),1600 x 395 x 730(h) mm
사-이
Between, Nature to Human
2025.10.1.(수) - 11.16.(일)
10:00-18:00(금, 토 10:00-20:00, 월요일 휴관)
Oct. 1st – Nov. 16th, 2025(Closed on Mondays)
철도문화공원 진주역 차량정비고
경상남도 진주시 강남동 진주대로879번길 18
Vehicle Maintenance Depot at Jinju Station in Railway Cultural Park
18, Jinjudaero 879beon-gil, Gangnam-dong, Jinju-si, Gyeongsangnam-do, Republic of Korea
2025년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주전시는 다층적인 ‘사이’의 개념을 감각적으로 구현하는 실험적 장이 될 것이다. 25명의 공예작가는 목공, 도자, 옻칠, 금속, 섬유 등 다양한 매체를 기반으로 전통기법을 재해석하거나, 공예재료를 새로운 맥락에서 활용하고, 새로운 기술과 융합하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공예의 경계를 확장한다.
The main exhibition of the 2025 Biennale will serve as an experimental platform that sensitively explores the multilayered notion of Sa-i. Twenty-five craft artists working in wood, ceramics, lacquer, metal, and textiles reinterpret traditional techniques, employ materials in new contexts, and integrate new technologies, thereby expanding the boundaries of contemporary craft.
◆ 특별전시 Special Exhibition
성파, 금강산도(부분), 9000x2200 mm
제 1전시실 - The Core of Jinju, 이성자와 진주소목
The Core of Jinju: Rhee Seund Ja and Jinju Somok
제 2전시실 - 一無(일무) 그 길 너머로
Ilmu: Beyond the Path
2025.10.1.(수) - 11.16.(일)
09:00-18:00(11월 10:00-17:00, 월요일 휴관)
Oct. 1st – Nov. 16th, 2025(Closed on Mondays)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
경상남도 진주시 에나로 128번길 14
Rhee Seund ja Jinju Art Museum
14, Ena-ro 128beon-gil, Jinju-si, Gyeongsangnam-do, Republic of Korea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에서 열리는 특별전시의 제 1전시실은 ‘The Core of Jinju, 이성자와 진주소목’ 현대추상미술의 대가 이성자 작가와 진주소목 장인의 콜라보레이션 전시로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감각적 교차를 시도한다. 제 2전시실 ‘一無, 그 길 너머로’ 에서는 이성자 작가와 성파스님의 인연을 조명하며, 두 거장의 회화작품을 통해 무한의 세계를 감상할 수 있다.
At the Jinju Municipal Rhee Seund Ja Jinju Art Museum, Exhibition Hall 1 hosts the special exhibition “The Core of Jinju: Rhee Seund Ja and Jinju Somok.” This collaborative exhibition between Rhee Seund Ja, a master of modern abstract painting, and Jinju’s traditional somok artisans explores a sensory intersection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Exhibition Hall 2 presents “Ilmu: Beyond the Path,” shedding light on the connection between Rhee Seund Ja and Venerable Seongpa. Through the paintings of these two masters, visitors are invited to experience a boundless world.
◆ 국제학술토론회 International Symposium
전통과 현대 사이, 공예의 창의성을 주제로 일본 중요무형문화재(인간국보) 미야모토 테이지 작가와 미키 효에츠 4대 옻칠작가가 전통공예의 지속가능성과 전통공예의 창의성에 대해 발표한다.
Teiji Miyamoto, a Living National Treasure of Jap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Miki Hyoetsu IV, a Kyoto-based lacquer master, give presentations on the sustainability of traditional crafts and the meaning of creativity in traditional craft practices.
주 제 : 전통과 현대 사이, 공예의 창의성
좌 장 : 정명택(영남대학교 교수)
발 표 자 : 미야모토 테이지(일본 인간국보), 미키 효에츠 4대(교토 옻칠작가)
토 론 자 : 최병훈(홍익대학교 명예교수), 김동귀(경상국립대학교 명예교수)
Theme: Creativity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Chairman: Chung Myungtaek (Professor, Youngnam University)
Presenter: Teiji Miyamoto (Living National Treasure of Japan)
Miki Hyotesu IV (Kyoto Lacquer Master)
Debaters: Byunghoon Choi (Emeritus Professor of Hongik University) Donggui Kim(Emeritus Professor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참여작가 Artist
강종렬 Jongryeol Kang, 구한회 Hanhoe Koo, 김무열 Muyeul Kim, 김병수 Byungsoo Kim, 김상훈 Sanghoon Kim, 김우길 Woogil Kim, 김자영 Jayoung Kim, 김정범 Jeongbum Kim, 김태윤 Taeyoon Kim, 김희원 Heewon Kim, 류남희 Namhee Ryu, 류연희 Yeunhee Ryu, 미야모토 테이지(宮本貞治) Teiji Miyamoto, 미키 효에츠 4대(四代 三木表悦) Miki Hyoetsu IV, 박성숙 Sungsook Park, 소소영 SOSOYOUNG, 위성범 Sungbeom Wi, 이승현 Seunghyun Lee, 이용기 Yongkee Lee, 정권석 Gwonsuk Jung, 정재나 Jaenah Jung, 정진호 Jinho Jeong, 조복래 Bokrae Cho, 허명욱 Myoungwook Huh
김정범, 우기청호(雨奇晴好, 부분), 450 x 450 x 450(h) mm
◆ 공예마켓 BCC Market (Between, Craft & City Market)
유네스코 창의도시의 공예작품을 통해 공예문화를 공유한다.
Craft culture is shared through the works of UNESCO Creative Cities.
기 간 : 2025. 10. 1.(수) ~ 10. 5.(일) | 10:00 - 18:00
장 소 : 철도문화공원 일원
Period: October 1, 2025 - October 5 | 10:00 - 18:00
Place: Railway Cultural Park (entire grounds)
◆ 시민 도슨트 프로그램 Citizen Docents Program
전시 기간 중 주전시와 특별전시에서 도슨트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시민 도슨트가 관람객에게 전시작품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During the exhibition period, citizen docents will provide guided explanations of the main exhibitions and special exhibitions, introducing the exhibition spaces and works to visitors.
기 간 : 2025. 10. 2.(목) ~ 11. 16.(일)
운영시간 :
[주전시관] 화-금, 일 11:00, 14:00 | 토 11:00, 14:00, 17:00
[특별전시관] 화-금, 일 14:00 | 토 14:00, 15:00
Period: October 2, 2025 - November 16, 2025
Operating hours:
[Main Exhibition] Tue.-Fri., Sun., holidays 11:00, 14:00 | Sat. 11:00, 14:00, 17:00
[Special Exhibition] Tue.-Fri., Sun., holidays 14:00 | Sat. 14:00, 15:00
◆ 다도관 TEA & JINJU
진주는 한국 차 문화의 현대적 발상지이자 수도이다. Tea & Jinju를 통해 진주 다도의 의미를 고찰하며 실용공예의 대안을 제시하는 공예작품 전시와 다도를 체험한다.
Jinju City is recognized as the modern birthplace and capital of Korean tea culture. Through Tea & Jinju, this program presents an exhibition of tea crafts and tea ceremony demonstrations, exploring the contemporary meaning of Jinju tea ceremony and suggesting new alternatives for everyday crafts.
기 간 : 2025. 10. 1.(수) ~ 11. 16.(일)
Period: October 1, 2025 - November 16, 2025
장 소 : 진주역 차량정비고 내 부대공간
Venue: Auxiliary Space in Vehicle Maintenance Depot at Jinju Railway
다도 체험 : 매일 15:00 ~ 16:00, 일 2회 운영(1회당 8인, 20분)
Cultural Park Tea Ceremony Experience: Daily, 3:00 – 4:00 PM (two sessions, 20 minutes each, up to 8 people per session)
※ 10.2.(목) 부터 체험 진행
※ Experience begins on October 2, 2025
체험 신청 : 구글 예약 (instagram:craftjinju) 사전 신청
Reservation: Advance reservation via Reserve with Google(Instagram: craftjinju)
◆진주공예인 축제한마당 Jinju Craftsmen Festival
진주공예인협회 회원 12인의 다양한 공예 체험과 전시, 판매
A variety of craft experiences, exhibitions, and sales by twelve members of the Jinju Craftsmen’s Association.
기 간 : 2025. 10. 1.(수) - 10. 19.(일) | 10:00 - 18:00 (월요일 휴관)
장 소 : 철도문화공원 일원
행사 주관 : 진주공예인협회
Period: October 1, 2025 - October 19 | 10:00 - 18:00 (Closed on Mondays)
Place: Railway Cultural Park (entire grounds)
Organizer: Jinju Crafts Association
◆진주목공예전수관 수강생 작품전시회
목공예전수관 수강생 작품 전시
Exhibition of Student Works, Jinju Woodcraft Training Center
기 간 : 2025. 10. 1.(수) - 11. 2.(일) | 09:00 - 18:00 (월요일 휴관)
장 소 : 일호광장 진주역 기획전시실 및 로비
An exhibition of works created by students of the Jinju Woodcraft Training Center.
Period: October 1, 2025 - November 2 | 09:00 - 18:00 (Closed on Mondays)
Venue: Ilhokwangjang Jinju Station in Railway Cultural Park
◆관광기념품 공모전
진주 관광기념품 공모전 수상작 전시
Jinju Tourist Souvenir Exhibits Award-winning Works
기 간 : 2025. 11. 4.(화) - 11. 16.(일) | 09:00 - 18:00 (월요일 휴관)
장 소 : 일호광장 진주역 기획전시실 및 로비
행사 주관 : 진주공예인협회
Period: November 4, 2025 - November 2 | 09:00 - 18:00 (Closed on Mondays)
Venue: Ilhokwangjang Jinju Station in Railway Cultural Park
Organization: Jinju Crafts Association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